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big 5, OCEAN 5의 세 번째 - 외향성(Extraversion)

by 행복의날 2021. 3. 3.

OCEAN 5의 세 번째 성격 요소인 외향성이 가지고 있는 여섯 가지 하위 특성 친근함, 사교성, 자기주장성, 활동성, 자극성, 긍정성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친근함(Friendliness)

외향성의 하위 특성인 '친근함'은 사람 자체를 얼마나 좋아하는가의 정도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 '친근함' 항목에서 점수가 높은 사람은 순수하게 사람을 좋아해 사람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상대편에서 다가오기 좋고, 상대 입장에서 자기도 모르게 신뢰하게 되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 '친근함'에서 점수가 낮은 사람은 내성적인 경향이 있고, 마음을 쉽게 열지 않는다고 합니다.

 

2. 사교성(Gregariousness)

외향성의 다른 하위 특성인 '사교성'은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을 얼마나 좋아하는가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 '사교성' 항목에 점수가 높은 사람은 사람들과 같이 있는 것을 즐거워하고 좋아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유대, 애정, 집단 속 온정 등에 끌리는 것이기에 이런 것이 없는 그룹은 관심이 없다고 하네요. 그리고 당연하겠지만 혼자 있는 것은 싫어한다고 합니다.
  • '사교성' 항목에 점수가 낮은 사람은 반대로 조용히 혼자 있는 것이나 신뢰가 쌓인 소수의 사람과 만나는 것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3. 자기주장성(Assertiveness)

외향성의 하위 특성 '자기주장성'은 자신의 의견을 얼마나 나타내고자 하는 정도로 이해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이 '자기주장성' 항목에서 점수가 높은 사람은 자신이나 자신의 감정을 강력하게 표출하고 싶어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기 있고 싶어하는 특징도 있네요. 사람에 따라 지시하기를 좋아하는 권위적인 것을 성향도 띌 수 있습니다.
  • '자기주장성' 항목이 낮은 사람은 주목받기를 싫어하고, 감정이나 생각을 잘 표현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4. 활동성(Activity level)

'활동성' 특성은 활동 수준이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냅니다. 

  • '활동성' 점수가 높은 사람은 왕성한 에너지로 생활 템포가 빠르고, 활기차고, 열정적입니다. 그리고 생각하기보다 먼저 행동하기 좋아한다고 하네요. 행동지향적인 이 태도로 자신의 일에서 진척도가 좋다고도 합니다.
  • '활동성' 점수가 낮은 사람은 뭐든 쉬엄쉬엄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고 합니다.

 

5. 자극성(Excitement-seeking)

하위 특성 '자극성'은 외부의 자극을 얼마나 추구하는가의 정도를 말합니다.

  • '자극성' 항목에서 점수가 높은 사람은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강한 자극이나 다양한 변화와 참신한 것을 추구한다고 합니다. 고공에서 낙하하는 스카이 다이빙같은 육체적인 위험도 의마하지만 정신적, 법적, 윤리적인 위험도 의미합니다. 그래서 사람에 따라 여러 불법 행위나 도덕적으로 안 된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통해서도 자극을 추구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자극성' 점수가 낮은 분들은 차분한 활동이나 혼자서도 충족할 수 있는 일을 선호하고, 너무 큰 자극이 되는 활동은 질색한다고 합니다.

 

6. 긍정성(Positive Emotions)

마지막으로 소개 드릴 하위 특성은 '긍정성'인데요. 이 특성은 긍정적인 감정을 얼마나 잘 느끼는가를 말합니다.

  • '긍정성'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인 감정을 잘 느껴서 기쁨을 잘 느끼고, 주위 사람도 긍정적이게 만든다고 합니다. 그리고 앞의 일을 생각할 때 웬만해선 긍정적인 관점으로 본다고 하네요. 또, 쾌활하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 '긍정성'이 낮은 사람은 외부 자극에서 보람을 잘 느끼지 못하고, 어떤 상관관계 때문이지는 모르겠지만 스스로를 자책하는 반성같은 자기 성찰을 할 때 보람을 느낀다고 하네요. 하지만 사색에만 계속 빠져있다 되면 행복을 잃어버릴 수 있으니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장려한다고 합니다.

7. 그 외에 외향성에 대해

위의 내용 외에도 한 하위 특성에만 한정되기 애매한 특으로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내면이 아닌 외부 세계에서 자극, 영감, 동기 등을 얻어 외부 사물에 더 집중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외향적인 사람들은 더 작은 자극으로도 좋은 감정들을 잘 느껴서 내향적인 사람보다 더 행복하다고도 말하네요. 내성적인 사람들이 보통 외향적이고 싶어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은데 그럴만한 과학적인 이유도 있는 것 같군요.

 

 

외향성 테스트 링크

여기까지 외향성의 하위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자신의 외향성 점수가 궁금하시다면 하단의 링크에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일회성으로 카카오에 간단한 개인정보 요구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또한, 테스트 결과에서 나오는 용어가 번역 때문에 몇 가지 다른데요. 친밀감은 친근감을, 리더십은 자기주장성을, 흥미 추구는 자극성을, 명랑함은 긍정성을 의미하고 있음을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Big 5 외향성 테스트

외향성은 우리가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방식과 관련돼 있어요. 외향성이 높을수록 활동적인 일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인답니다.

together.kakao.com

 

댓글